3. 응결 Condensation
![]() |
스팀 샤워 후 습기 찬 롤렉스 화이트골드 서브마리너 116619LB ROLEX Submariner 116619LB got condensation on the inside of the crystal after steam shower. |
일반적으로, 수증기 침투 여부는 시계 내부 유리표면에 발생하는 응결 여부로 판단하지만,
수증기 침투 없이도 조립시에 처음부터 포함된 공기 중 수증기만으로도 응결이 발생할 수도 있고,
수증기가 침투했다고 하더라도 항상 응결이 발생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
ㄱ. 습공기선도
![]() |
습공기 선도 Psychrometric Chart |
위 습공기 선도를 이용하여 시계 내부 응결 과정을 설명할 것이다.
간단한 개념만 살펴보면,
x축: 온도
y축: 수증기량 또는 절대습도 또는 수증기압이 될 수도 있다.
절대습도 : 수증기 질량을 수증기를 제외한 공기의 질량으로 나눈 값
위 그래프에서, 12시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절대습도가 높아진다.
상대습도: 주어진 상태의 수증기압을 그 온도의 포화수증기압력으로 나눈 값
위 그래프에서, 포화수증기량 곡선에 가까워질 수록 상대습도가 높아진다.
포화상태 : 공기가 최대한으로 수증기를 포함한 상태로 상대습도 100% 에 해당한다.
포화수증기량: 포화 상태의 공기 속에 포함된 수증기량으로
위 그래프처럼, 온도가 상승할수록 포화 수증기량도 많아진다.
이슬점 온도: 수증기압 변화없이 냉각만으로 공기가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응결이 일어날 때의 온도
위 그래프에서, 주어진 상태에서 수평선을 그었을 때 포화수증기량 곡선과 만나는 곳에서의 온도이다.
이슬점 온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량으로 결정되는 값이기 때문에,
위 그래프에서, 12시방향으로 이동할수록(공기 중 수증기량 많아질수록) 이슬점온도 또한 높아진다.
따라서, 공기 중 수증기량 많다 -> 이슬점 온도 높다 -> 냉각에 따른 응결되기 쉽다 라고 이해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설명은 링크 참조.
http://study.zum.com/book/1531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sy879&logNo=100170182984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urqury&logNo=140036017642
http://www.kemco.or.kr/up_load/blog/습공기선도의의미와사용방법.pdf
http://www.samickmc.com/2015/htm/sub02_02_5.htm
http://dic.kumsung.co.kr/web/smart/detail.do?headwordId=972&findCategory=B002004&findBookId=25
ㄴ. 응결이 나타나는 경우
시계 내부 공기 상태가 포화수증기량 곡선(상대습도 100%)에 도달하는 경우 응결이 발생한다.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면,
a. 냉각에 따른 응결
겨울철 자주 볼 수 있는 응결형태이다.
위에서 언급한 습공기선도를 통해 설명해보면,
![]() |
습공기 선도 Psychrometric Chart |
A상태 : 온도 25도, 공기 중 수증기 12.8g가 포함되어 있다.
이 때, 상대습도는 12.8g/23.1g 으로 대략 55%이므로 응결은 일어나지 않는다.
A -> B 이동 : 냉각에 의해 포화 수증기량 곡선에 가까워지면서 상대습도도 점점 증가한다.
결국, 섭씨 15도에 도달하면 상대습도 100%가 되어 시계 내부에서 응결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B -> C 이동 : 15도에서 5도로 더 냉각하면, 시계 내부에서 6.0g 물방울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수증기 침투 없이도 조립시에 처음부터 포함된 수증기만으로도 응결이 발생할 수 있다.
https://youtu.be/uQFuZL14Aaw?t=17m55s
새 시계임에도 불구하고 표면에 얼음을 올려놓으면 유리 내부 표면에서 응결을 발견될 수 있다.
특히, 습기 조절 안되는 공장에서 조립된 경우라면, 냉각에 따른 응결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http://forums.watchuseek.com/f17/g-shocks-made-thailand-more-likely-fog-up-732825.html
http://forums.watchuseek.com/f17/new-gulfmaster-condensation-3481185.html
http://forums.watchuseek.com/f17/how-deal-thailand-watches-720593.html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watch&no=137391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unhee2202&logNo=220870420848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watch&no=72889
b. 수증기 공급에 따른 응결
사우나 등 수증기압이 높은 경우 볼 수 있는 응결 형태이다.
위에서 언급한 습공기선도를 통해 설명해보면,
오링을 통한 수증기 침투 등을 이유로 10.3g 상당의 수증기가 내부로 공급되면,
상대습도 약 55%에서 상대습도 100%에 도달하여 응결이 시작한다.
반대로, 침투된 수증기량이 10.3g 보다 작다면 응결을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시계 착용자는 수증기 침투여부를 체감하기 어렵다.
ㄷ. 앞에서 소개했던 화골 섭마에 응결이 발생한 이유
https://www.rolexforums.com/showthread.php?t=526130
홍콩에서 중고 로렉스 섭마 구입하고 다음날 아침 10분정도 스팀 샤워한 이후 여행 도중 응결이 발생했다고 한다.
A -> E : 10분 정도 스팀 샤워 동안, 수증기 침투에 따라 내부 수증기량도 증가하고 온도도 상승한다.
E -> D : 샤워 후 홍콩 여행 도중, 시계 내부 공기가 식혀지면서 이슬점 온도에 도달하여 응결이 발생되기 시작한다.
사실, 중고 제품이기 때문에, 오링 마모 등의 이유로 실링 자체에 문제가 있어 수증기가 침투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응결이 발생한 후 업자의 압력테스트에서는 아무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결국, 오링에 통한 수증기 침투가 원인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업자의 방수테스트를 통과한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시계 방수 테스트 방법들을 살펴보면 알아본다.
4. 방수테스트 Waterproof Test
https://www.tudorolex.com/2018/10/watch-waterproof-test.html
방수, 방습, 습기, 시계, 응결, g샥시계, 지샥시계, Condensation, Dampproof, Dehumidification, Gas Permeability, Moisture, Moisture-proof, Watch, Waterproof, Wet, ロレックス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